학습목표
2014년부터 지방소득세가 부가세 방식에서 독립세 방식으로 전환함에 따라 과세요건을 독자적으로 규정, 운영하고 있고, 취득세 등 자진신고 세목의 경우 납세의무확정을 1차적으로 납세의무자에게 부여함에 따라 지방세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과세관청이 검증하는 등 지방세 세무조사의 필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대흐름에 맞춰 법인을 중심으로 취득세와 지방소득세 등 주요세목에 대한 세무조사시 대응요령을 같이 고민하면서 해결책을 제시, 납세의무자 입장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학습특징
· 취득세와 지방소득세 등 주요세목에 대한 세무조사시 대응요령 습득
· 납세의무자 입장에서 유용한 지방세 세무조사시 사후관리 절차 및 정보 제공
학습대상
· 경리ㆍ회계ㆍ세무부문의 실무자 및 관리자
· 지방세 및 지방세 세무조사에 대한 기본지식 습득과 실무적용 방법에 관심이 있는 분
학습내용
일자 |
시간 |
주요 학습내용 |
1일차 (04.06(금)) |
13:00~18:00 (5시간) |
1. 세무조사 총론
- 세무조사 의의
- 세무조사 준비절차
- 본 세무조사 시 대응요령
- 조사관청의 세무조사시 적법절차 이행여부 및 대응
2. 세무조사 대응 요령
1) 법인장부 및 주요계정 조사시 대응
2) 취득세 일반(과점주주 간주취득 포함) 조사시 대응
3) 지방세 중과세 관련 세목 조사시 대응
4) 법인분지방소득세(세무조정계산서 포함) 조사시 대응
5) 비과세, 감면 적정여부 조사시 대응
3. 세무조사 종결 후 사후관리
1) 세무조사결과통보서 수령시 후속절차
2) 지방세불복 |